외부 환경과 내부 파트 간의 모든 상호작용은 포트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포트를 사용하여 환경에서 오브젝트의 내부 파트를 분리시킬 수 있습니다. 커넥터는 클래스류의 특성에 포트를 링크하고 둘 이상의 인스턴스 간 통신을 호출합니다. 클래스류에 대한 여러 포트를 정의하여 상호작용이 시작되는 포트에 따른 여러 다른 상호작용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포트는 다이어그램 프레임에 포트 이름이 있는 작은 사각형으로 표시됩니다. 컴포지트 구조 다이어그램 경계 및 컴포지트 구조 다이어그램의 내부 파트에 포트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 그림에서 다이어그램 프레임은 세 가지 파트를 표시합니다. 두 개의 파트에는 클래스류 Wheel이 입력되고 세 번째에는 클래스류 Engine이 입력됩니다. Delegate라는 직선 커넥터가 e:Engine이라는 내부 파트를 컴포지트 구조 다이어그램의 외부 경계에 있는 포트로 링크합니다. 외부 포트에는 Car 클래스류가 입력되고 이름은 Port:Car입니다. 커넥터에는 외부 포트를 가리키는 여는 화살촉이 있습니다. 두 개의 Wheel 파트인 front:Wheel[2] 및 rear:Wheel[2]이 Assembly라는 직선 커넥터로 Port:Engine이란 내부 포트에 연결됩니다.

포트는 두 방향 모두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필수 및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추가하여 클래스류와 환경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상호작용 유형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 그림에서 다이어그램은 carSeat:Seat이란 한 파트와 두 개의 포트가 있는 Car 클래스류를 표시합니다. DriverSeatbelt:Seatbelt란 포트가 파트에 표시되며 작은 직선으로 포트의 맨 위까지 연결된 원이 있습니다. 원은 Car 클래스가 운전사에게 자동차를 작동시키도록 제공하는 SafetyDevice라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컴포지트 구조 다이어그램의 경계에는 Engine:PowerGenerator라는 포트가 실선으로 반원까지 연결되어 있습니다. 반원은 Car 클래스가 자동차를 작동시키 위해 필요한 Gasoline이라는 필수 인터페이스를 나타냅니다.

컴포지트 구조 다이어그램에서 포트의 isService 특성을 사용하여 포트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isService 특성이
true로 설정된 경우 포트는 컴포지트 구조 다이어그램의 경계에
표시되며, 이는 포트가 환경에 필요함을 나타냅니다.
특성을 false로 설정하면
포트가 구조 컴파트먼트의 내부로 이동하며, 이는 포트가 클래스류의 내부
구현에만 사용되고 환경에는 필요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isService 특성이
false로 설정된 경우에는 클래스류 사용에 영향을 주지 않고
포트를 삭제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